2008/06 3

[dW] REST 서비스 작성하기

REST 서비스 작성하기 이 글은 REST(Representation State Transfer)와 Atom Publishing Protocol(APP)에 관한 개념이 잘 나와있습니다. 그리고 REST/APP 기반의 서비스 구현 방법도 예로 나와있지요~ 본문 내용중에, REST 원칙은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s)를 사용하여 주어진 자원 표현의 위치를 알아내고 접근한다. 표현 상태(representational state)라 알려진 자원 표현은 만들어질 수도, 찾아올 수도, 수정될 수도, 삭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EST를 적용하여 문서를 발행해 독자들이 이 문서를 읽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언제든 문서를 발행할 때는 웹 URL을 보여줘야 한다. 그래야 독자들이 그 ..

[dW] Diagnosing Java code: Java generics without the pain, Part 1

JavaOne 2008 Wrap-up 세미나 발표자료에 올라온 "More Effective Java" 주제로 양수열님이 2nd Edition으로 출간된 Effective Java의 저자직강으로 JavaOne에서 열렸던 내용을 소개하는 부분으로 Java 5.0에 추가된 Generics, Enum types, Lazy initialization 관련 부분이 나와서 찾아보던 중 Generics에 관한 글로 2003년 글로 dW에 있군요. Part 1, Introduction to generic types and support features (February 2003) Part 2, Extension limitation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March 2003)Part 3,..

[dW] Practically Groovy: Reduce code noise with Groovy

요즘 Groovy에 대해 조금 공부하고 있는데 dW에 찾아보니 Groovy에 특성이 나타나 있는 글을 발견했는데 자바에서의 noise와 복잡성을 Groovy를 사용해서 제거하는 방법이 주로 나타나있습니다. 자바에서 JavaBean을 썼을때와 Groovy에서 Bean을 생성했을때의 코드차이. Groovy에서도 Junit을 이용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법, polymorphism, Spring framework를 사용하는 방법들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Groovy에 대해 직접적인 언급보다는 기존 자바코드와 비교해서 또는 자바와 함께 쓸때의 장점등이 나타나있군요. 이래서 Groovy를 쓰면 편하겠다~ 라는 글.. ^^ Practically Groovy: Reduce code noise with Groovy